안녕하세요 

여려분의 귀염둥이 창업서포터 꿘터입니다.

저번 시간엔 사업계획서에대해서 이야기를 했죠?

이번시간에는 사업게획서를 쓸때 주의할점에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업계획서를 쓸때 핵심적으로 분석해야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특히, 내부관리용 사업계획서를 작성할 때는 요식적인 계획보다는

사업계획에 얼마나 실행 가능성이 있느냐를 주된 관점으로 두고 작성해야합니다.

따라서 형식에 구애받지 말고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별로 

철저히 분석해서 실행 단계별 완성도를 높여야 합니다.


다음은 사업계획서를 작성할때 핵심적으로 분석해야 할 사항들입니다.


사업계획서작성시 분석 체크리스트

 Yes

 No

 경기분석: 국내외 경기의 흐름이 시장진입과 확대가 가능한 시점인가?

 

 

자금조달분석: 창업자금과 운전자금의원천이 명확하고 충분하며 시의성이 확보되어있는가? 

 

 

재료분석: 필요한 재료의 조달이 담보되어 있는가? 

 

 

인력확보분석: 기술인력과 운전인력의 확보가 가능한가?

 

 

제품분석: 제품수명주기와 특성분석이 타당한가? 

 

 

시장분석: 경쟁사, 소비자, 유통두조, 시장점유율 분석이 타당한가?

 

 

 공장입지분석: 공장의 입지(사업장) 선정에 문제가 있는가?

 

 

설비투자분석: 제조설비는 적합하며 투자에 따른 문제가 없는가?

 

 

 외부환경분석: 경기나 정부의 시책과 규재와 같은 외부환경이 분석되었는가?

 

 

 수익성분석: 수익성분석이 과대평가 되지는 않았는가?

 

 

 기술력분석: 제품개발을 위한 지식과 기술 확보가 검증되었는가?

 

 

 손익분기점분석: 손익분기점이 타당한가?

 

 



여기서 유념해야 할 것은, 창업단계에서 관리용 추정재무재표을

 작성할때는 보수적으로 작성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추정매출액을 기준으로 하지않고 

목표이익을 정해서 배분하는 방식으로 낙관적인 목표설정을 하게되면 비현실적인 결과를 가져와

영업과정에서 유동성 위기를 초래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분석을 통해 시장성, 제조기술, 소요자금, 수익성을 구체적이고 객관적이며 현실적으로

나타내야 합니다. 이를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평가해서 무지개꿈을 꾸다가 흙탕물만 뒤집어쓰는 

창업 회사가 생각보다 많습니다.


자 여기까지 오늘은 사업계획서를 작성할떄 유의할점에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여러분께 많은 도움이 됬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